이봐, 아내 + 언플래쉬
![]()
플랜트에 필수적인 설비 중 하나인 VCB 보통 중압, 고압 계통에서 사용되며 6.9[kV]Line에서 많이 사용된다.Motor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때 혹은 고장시 고장구간을 신속하게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.아크를 진공으로 소호하고 소호 능력이 뛰어나 많은 곳에서 사용되는 만큼 플랜트로 정비를 한다면 VCB 정밀점검은 반드시 한번씩 작업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.VCB는 회사마다 제품이 다르다. 대표적으로 LS일렉트릭이라 불리는 LS산전과 현대일렉트릭이 있다. 우리 회사는 LS 제품을 사용하는데 Catalog가 상당히 불친절해. 현대의 것들은 친절함과 정성을 느낄 수 있다
이 패널을 열어보면..
![]()
자잔LSVCB
VCB구조 및 원리제작사에 따라 조금 다름
![]()
VCB는 진공을 매질로 소호한다는 것은 알고 있을 것이다. 실제로 회로는 어떻게 되어 있고 진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어디인지 알아보자
찾아보니 LS카탈로그에도 좋은 그림이..
![]()
도면을 보면 전원 측은 1차 측, VCB 기준 위쪽이고 부하 측은 2차 측, VCB 기준 아래쪽이다. 실제 VCB에서도 위가 1차 측, 아래가 2차 측이다. 그 사이에 수직으로 있는 원통형 물체가 진공인터럽터(진공밸브)라고 불리는데, 여기가 진공이 형성되어 아크를 소호하는 부위이다.
LS 카탈로그 불친절 취소사각 빨간 박스 부분이 실제로 붙었다 하면서 회로를 Open/Close시키는 부분이다. 공간에 진공이 형성되어 있어 절연내력이 매우 높게 형성되어 있어 아크를 소호시킬 수 있는 것이다.보충 설명을 하자면……..진공압과 절연내력과의 상관관계는 퍼센의 법칙에 따라 아래의 Curve에 따른다.내가 찬양한 글러브 그림VI는 약 10-5 수준의 높은 진공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절연파괴전압이 높아 아크를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. VCB 점검Point전기실에 가보면 큰 패널 안에 VCB가 들어 있다. 작업은 보통 발주하고 업체에서 하는데..감독자의 입장에서 무언가를 알아야 감독할 수 있잖아? 무엇을 점검하는지 알아보자.점검 내용은 책이나 기사 시험에서 배운 내용과 대동소이하다.(확실히 어디에서 들은 적이 있는 내용인 것 같아?)1)육안 점검-중요한 부분이지만 가장 놓치기 쉬운 부분이기도 하다. 눈으로 흘긋 보는 느낌이 아니라 내 자식이라는 생각으로 여기저기 꼼꼼히 살펴보아야 한다.-VCB점검 후, 물리적으로 파손된 부분이 있는지 살펴보기! 투입과 차단될 때 외형이 깨지고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. -실제로 VCB를 이끌어 내고 보면 장관 간 분리시키는 몰드형 칸막이가 있지만 그 부분이 깨져서 Open/Close Test할 때 VCB의 요동이 매우 큰 사례가 있다. 그대로 넣으면 벽이 전부 깨질 뻔했다..벽으로 싸여 있는 게 보여?2)정밀 점검 사항의 다음과 같은 기준이 있으나 제작사마다 Test를 하고 맞춰야 하는 기준치가 있다. 현장에서 정밀 점검을 한다는 의미는 다음 사항을 테스트하는 것을 의미한다. 또 단자대 볼트 조이고, 그리스 주입 등 기본적인 작업도 물론 점검 사항이다. 작업이 끝난 뒤에 시험 성적서가 도착할 거니까 참고하면 좋다. -동작 특성 시험:Open, Close동작이 기준치보다 빨리 이루어지는지를 테스트한다. ms단위로 움직임-접촉 저항:주 회로의 저항을 측정한다. 접촉 단자가 마모할 수 있으므로 꼭 해야 한다. VCB가 실제로 회로와 씹는 부분이라고 보면 된다. (위의 구조 사진에서 튤립 렌즈에 해당)-절연 저항:절연되지 않으면 큰일이 되지요??? VCB의 절연 저항 값을 측정한다. -진공도 측정:진공 밸브에 시험 전압을 인가하고 새는 전류가 일정 기준치 이상 나오자 진공도가 떨어졌음을 의미한다.이렇게 종합적으로 판단한 뒤···PASS판정을 받으면 정비 마무리~ 아니다.실제 작업을 할 때 중요하다고 느낀 점은 전기적으로 정비하는 것 이외에도 “실제”작업을 어떻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느낄 때가 많다. 예를 들어 VCB는 매우 무거워서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. 특히 패널이 2층 구조로 되어 있겠지만 보통 Lifter를 사용하고 이끌어 낸다. 이때 크래들에 잘 맞추는 것은 쉽지 않다. 규격이 칼 같아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안 들어. 그래도 말했듯이 너무 무겁다. 힘을 넣어 Door에 있는 다른 케이블을 잘못 건드려가능성도 있다. 또 투입 후 Open/Close시험을 할 때는 안전하게 절대 주의해야 한다.(테스트하는 사람 혼자 죽기를 망설이다가, 까닭도 없이 둘이서 죽지 말라고 했다)LS의 K형 크래들LS의 K형 크래들작업 리뷰: 쿵 소리가 나는 VCB는 언제 들어도 적응이 안 되는 것 같다.END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_1qgIXLPsZU&pp=ygU4W-yghOq4sCDsoJXruYQg64W47Yq4XSBWQ0IoVmFjdXVtIENpcmN1aXQgQnJlYWtlcikgU3R1ZHk%3D


![[ESG경영] 유럽에서 온 친환경 마감재!삼화페인트코리아빌드2023킨텍스박람회 [ESG경영] 유럽에서 온 친환경 마감재!삼화페인트코리아빌드2023킨텍스박람회](https://m.samhwa.com/resources/_mobile/static/images/common/share.png)